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합검색

글로벌시험연구기관으로 도약하고, 최고 신뢰 수준의 시험연구서비스 제공합니다.

통합검색

"1 0Ti<" 에 대한 전체 "197" 개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관련 인증/시험

0의 검색결과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업안내

9의 검색결과

컨텐츠

140의 검색결과

  • Overview KS Certification Designated as the first KS certification institution on Nov. 30, 2015: 539 items KS certification and audit pursuant to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 Act Initial(new) certification and audit Regular audit(every 1 to 3 years), factory relocation audit, institution change audit Field study of products sold on the market Areas of certification: 12 areas including machinery(B), electricity(C), construction(F), daily necessities(G), ceramics(L) One-stop support center for multiple certifications Resolve the difficulties of businesses requiring multiple duplicated certifications for products such as LED, furniture, windows, and faucets KC Certification Safety Inspection of Children’s Products Testing and inspection of children’s products having safety concern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of Products for Children Children’s products requiring safety certification: 4 items, including children restraint systems Children’s products requiring safety confirmation: 16 items, including toys and children’s products containing synthetic resin Children’s products requiring supplier conformity confirmation: Children’s products for children aged 13 years and under, including leather goods and textiles Safety Inspection of Consumer Goods Testing and inspection of consumer goods having safety concerns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sumer Products Safety Control Act Consumer goods requiring safety certification: 3 items, including aquatic equipment Consumer goods requiring safety confirmation: 19 items, including bicycles and vehicle safety helmets Consumer goods requiring supplier conformity confirmation: Portable ladders, kickboards, etc. RS Certification Reliability certification for guarantee of product quality (low defect rates + long life) Certification of natural cosmetics and organic cosmetics Designated as a certification institution for natural cosmetics and organic cosmetics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accordance with Article 14-2, Paragraph 4, and Article 23-3, Paragraph 3 of the Cosmetics Act and its Enforcement Rules, and carrying out certification tasks. Education/training site safety certifications Institutional designation Designated as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education/training site safety certification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cation target: education/training site such as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 universities Business Certification audits of site safety, indoor environmental safety, & external environmental safety for education/training sites (schools, etc.) as stipulated in the Act on Safety &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etc Specialized Inspection of Purchases and Supplies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Related Legislation Legislation related to contracts to which a country is a party Legislation related to contracts to which a local government is a party Regulations on the activities of specialized inspection of procured goods Details of services Review of specifications of contract parties and issuance of certificates for Multiple Award Schedules(MAS) On-site sampling for quality control on a regular or frequent basis Inspection of delivery of procured goods and client-request inspections Global Certification Service Center Expansion of support services for alleviating certification burdens for companies and acqui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Technology certification and medical certification (NEP/NET, performance certification, excellent procurement items, medical devices, GMP, medical device technical documentation certification, etc.) Q, Geon, HS,vegan, V-Check, antibacterial, high-strength concrete certification marks Support for companies related to regulatory sandboxes. Expansion of cooperation in overseas certification.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domestic private specialized institutions Smart Factory Supply & Promotion Projects Designation Designated as an evaluation institution for smart factory level evaluation scheme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Designated as a consulting institution for smart technology empowerment projects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Details of services Smart technology empowerment project: Support the planning of smart factory strategy through consulting from a specialized consulting agency for companies scheduled to build or upgrade their smart factories (consulting support and help companies resolve their difficulties on site) Smart factory level evaluation scheme: Diagnose the current level of smart technology of SME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issue reports and certificates in order to supply and disseminate optimized smart factories to the manufacturing sites of SMEs Operate empowerment training curriculums for smart factory evaluators and consultants Certification Marks Geon-Mark A certified mark that guarantees the quality of products found to meet the prescribed inspection criteria that conform to the properties of each product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product and protect the interests of consumers Q-Mark A certified mark that guarantees the quality of products found to pass the test and insp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bed quality criteria specified in a contract between KCL and the manufacturer to maintain a high standard of product quality KAS V-Check Mark A quality certification mark issued by an accredited certification institution by the Korea Accreditation System (KAS), certifying the safety,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products HS Mark A certified mark issued for products as a guarantee of their hygiene and safety found to meet stringent standards through testing, to protect consumers’ health and safety Anti-bacterial Mark A mark issued for anti-bacterial processed products for consumer protection and quality assurance. Ultra-high-strength Concrete Mark A mark certifying the quality of ultra-high-strength concrete used in special structures such as ultra-high-rise buildings, long-span buildings, and long-life buildings

    영문사이트 > Business Areas > Certification & Audit
  • 업무개요 환경측정기기(간이측정기) KCL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환경측정기기 검사기관(정도검사, 간이측정기 성능인증)으로 지정받아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관련법령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8421호)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34290호)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환경부령 제1071호)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3-70호) 정도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측정기기를 사용한 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성능인증을 받지 아니하고 측정기기를 제작, 수입한 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정도검사 대상 장비 형식승인 받은 환경측정기기를 사용 · 운영하는 자는 형식승인한 내용대로 구조와 성능이 유지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정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시험 항목(대기분야) 대기 연속 자동측정기와 그 부속기기 (SO2, NOx, O3, CO,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대기질 시료채취장치와 그 부속기기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대기 연속 자동측정기 (SO2, NOx, O3, CO) 대기 연속 자동측정기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대기질 시료채취장치와 그 부속기기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성능인증 대상 간이측정기(대기 분야 및 실내공기질 분야)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형식승인이나 예비형식승인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측정기기 중 다음의 측정기기를 대상으로 함 대기 분야 측정기기: 1. 이산화질소 측정기기 2. 일산화탄소 측정기기 3. 오존 측정기기 실내공기질 분야 측정기기 1. 이산화탄소 측정기기 2. 라돈 측정기기 *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 특정 제품에 보조적으로 설치된 측정기기(또는 센서) 제외 업무절차 정도검사 프로세스 1. 정도검사 신청 정도검사 신청서 제출 정도검사 기록부 제출 정도검사 수수료 납부 2. 신청내용 검토 신청서 및 신청서류 검토 접수증 발급 평가 일정 통보 3. 정도검사 진행 반입시험 또는 현장시험 진행 구조확인 및 측정기 종류에 따른 성능확인 진행 4. 적합 여부 결정 적합·부적합 결정 증면서 및 점검표 발급 5. 정도검사 증명서 수령 정도검사 증명서, 기록부, 점검표 수령 정도검사 증명서 부착 간이측정기 성능인증 프로세스 1. 인증 신청 성능인증신청서 주요제원에 관한 서류 작동원리 및 성능 설명서 성능인증 수수료 납부 2. 신청내용 검토 신청서 및 신청서류 검토 접수증 발급 평가 일정 통보 3. 실내시험 반복성, 직선성(지시오차) 시험 (간이측정기 3대) 4. 실외시험 상대정확도 평가 (간이측정기 3대) 최소 14일 이상 측정(단, 라돈 간이측정기는 최소 6일 이상 측정) 5. 인증결정 인증등급 결정 인증서 발급 홈페이지 인증결과 공개 (인증서 발급 후 7일 이내) 6. 인증등급 표지 인증서 수령 간이측정기 성능인증 등급 표지 부착 시험안내 정도검사 시험 방법 정도검사는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 중 [별표 2의 1]‘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방법 중 대기분야’에 따라 구조확인과 성능확인을 통해 진행합니다. 대기연속자동측정기(SO2, NOx, O3, CO)는 구조확인과 반복성, 제로⋅스팬드리프트, 직선성, 응답시간으로 성능확인을 진행합니다. 대기연속자동측정기(PM 2.5, PM 10)는 구조확인과 반복성, 스팬드리프트, 직선성, 유량 정확성, 공시험으로 성능확인을 진행합니다. 대기환경 시료채취장치(PM 2.5, PM 10)은 구조확인과 기밀성, 유량안정성, 유량⋅온도센서⋅압력센서 정확성으로 성능확인을 진행합니다.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도검사 시험 방법 목록은 분야, 항목, 문서번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야 항목 문서번호 대기연속자동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 이상화황(SO2)측정기 QM 0203.2 질소산화물(NOx)측정기 QM 0203.3 일산화탄소(CO)측정기 QM 0203.4 오존(O3)측정기 QM 0203.5 미세먼지(PM-10)연속자동 측정기 QM 0203.1 초미세먼지(PM-2.5)연속자동 측정기 QM 0203.6 대기환경 시료채취장치 및 그 부속기기 초미세먼지(PM-2.5) 시료채취장치 QM 0205.1 미세먼지(PM-10) 시료채취장치 QM 0205.2 정도검사 시험 기준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3-70호) 중 [별표 1-1]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세부기준 중 대기분야에 따라 진행합니다.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도검사 시험 기준 목록은 분야, 항목, 문서번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야 항목 문서번호 대기연속자동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 이상화황(SO2)측정기 QM 0203.2 질소산화물(NOx)측정기 QM 0203.3 일산화탄소(CO)측정기 QM 0203.4 오존(O3)측정기 QM 0203.5 미세먼지(PM-10)연속자동 측정기 QM 0203.1 초미세먼지(PM-2.5)연속자동 측정기 QM 0203.6 대기환경 시료채취장치 및 그 부속기기 초미세먼지(PM-2.5) 시료채취장치 QM 0205.1 미세먼지(PM-10) 시료채취장치 QM 0205.2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도검사 성능확인 기준 목록은 대기측정기(반복성, 제로드리프트, 스팬드리프트, 직선성, 응답시간), 연속자동측정기(반복성, 스팬드리프트, 직선성, 유량의 정확성, 공시험), 시료채취장치(기밀성, 유량 안정성, 유량 정확성, 온도센서의 정확성, 압력센서 정확성)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복성 제로드리프트 스팬드리프트 직선성 응답시간 이상화황(SO2)측정기 0.0005 ppm 이하 0.0005 ppm 이하 0.01 ppm 이하 0.01 ppm 이하 3분 이하 질소산화물(NOx)측정기 0.0005 ppm 이하 0.0005 ppm 이하 0.01 ppm 이하 0.01 ppm 이하 3분 이하 일산화탄소(CO)측정기 0.5 ppm 이하 0.5 ppm 이하 1.0 ppm 이하 1.0 ppm 이하 3분 이하 오존(O3)측정기 0.0005 ppm 이하 0.0005 ppm 이하 0.01 ppm 이하 0.01 ppm 이하 3분 이하 반복성 스팬드리프트 직선성 유량의 정확성 공시험 미세먼지(PM-10)연속자동 측정기 2.0 % 이하 3.0 % 이하 5.0 % 이하 2.0 % 이하 ± 10 ㎍/㎥ 이내 초미세먼지(PM-2.5)연속자동 측정기 2.0 % 이하 3.0 % 이하 5.0 % 이하 2.0 % 이하 ± 5 ㎍/㎥ 이내 기밀성 유량 안정성 유량 정확성 온도센서의 정확성 압력센서 정확성 초미세먼지(PM-2.5) 시료채취장치 5.0 % 이하 5.0 % 이하 2.0 % 이하 ± 2.0 ℃ 이내 ± 5 mmHg 이내 미세먼지(PM-10) 시료채취장치 5.0 % 이하 5.0 % 이하 2.0 % 이하 ± 2.0 ℃ 이내 ± 5 mmHg 이내 성능인증 시험 방법 성능인증 시험은‘간이측정기 성능인증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실내시험(반복성, 직선성)와 실외시험(상대정확도)으로 구분하여 평가합니다. *단, 센서형 라돈간이측정기는 실내시험(반복성, 지시오차 시험)으로 진행 실내시험 평가장비 실외시험실(실내공기질 분야) 실외시험실(대기 분야) 성능인증 등급 기준 평가항목별로 성능인증 등급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가장 낮은 평가항목의 결과에 따라 성능인증 등급을 결정합니다. 실내시험을 진행한 결과, ‘등급 외’에 해당하는 경우 실외 시험은 평가 제외합니다. 대기 분야 -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간이측정기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 분야 성능인증 등급 기준 목록은 평가항목별 등급, 평가항목(실내 챔버평가(반복성, 직선성), 실외평가(상대정확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평가항목별 등급 평가항목 실내 챔버평가 실외평가 반복성 직선성 상대정확도 1등급 ≤ 10.00 % ≤ 15.00 % ≤ 30 % 등급외 > 10.00 % > 15.00 % > 30 % 실내공기질 분야 - 이산화탄소 간이측정기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공기질 분야 성능인증 등급 기준 목록은 평가항목별 등급, 평가항목(실내 챔버평가(반복성, 직선성), 실외평가(상대정확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평가항목별 등급 평가항목 실내 챔버평가 실외평가 반복성 직선성 상대정확도 1등급 ≤ 10.00 % ≤ 15.00 % ≤ 30 % 등급외 > 10.00 % > 15.00 % > 30 % 실내공기질 분야 - 라돈 간이측정기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 분야 성능인증 등급 기준 목록은 평가항목별 등급, 평가항목(실내 챔버평가(반복성, 직선성), 실외평가(상대정확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평가항목별 등급 평가항목 실내 챔버평가 실외평가 반복성 직선성 상대정확도 1등급 ≤ 20 % ≤ 20 % ≤ 30 % 등급외 > 20 % > 20 % > 30 %

    국문사이트 > 인증·심사 > 인증 > 환경측정기기 인증·검사

게시판

48의 검색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