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관련 인증/시험
0의 검색결과
-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컨텐츠
60의 검색결과
-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 맑은 물과 공기 속에서 국민이 생활할 수 있도록 시험평가와 R&D를 수행합니다. 주택과 실외 환경, 환기시설, 스포츠시설, 자동차 등 이동수단에 대한 안전성 시험과 에어필터, 미세먼지 측정, 화이트 바이오, CCU 등 환경적 이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업무명 국제 환경 규제 유해물질 시험 분석 업무개요 유해물질 사용 제한지침 유럽연합(EU)에서 시행되어 해로운 물질을 사용한 전자제품이나, 전기기기를 제한하는 지침으로 RoHS 라고 한다. 2003년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에 의해 제정 공포되고 2006년에 발효되었다. 단일물질을 기준으로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PBB, PBDE 의 최대 허용 농도 0.1 %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며, Directive(EU)2015/863 에 따라서 프탈레이트 4종(DEHP,BBP,DBP,DIBP)이 추가 되어 2019년 7월 부터 발효예정이다. 법적근거 : Directive 2002/95/EC on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국제환경 규제 유해물질 페인트(도료)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 할로겐 화합물(브롬,염소 등), 유해 중금속, 기타 브롬계 난연제, 어린이 용품 환경 유해물질(노닐페놀,유기주석,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유해 화학분석 물질 분석 업무와 연구용역 등을 수행 대상품목 전기전자제품(제품에 포함된 부속품,소모품 등 단일재료) 도료(페인트) 고무 플라스틱 등 고분자 재료 업무절차 업무절차 1. 시험분석 신청 시험분석 신청서 작성 사업자등록증 사본 시료발송 시료량: 액상 100g, 고상 20g 이상 발송: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사본, 시료 동봉 2. 접수 견적서 발송 및 수납 일정통보/견적서발송, 수수료 납부 3. 제품검사진행 시험 분석 진행 처리기간 5 ~ 14일 4. 성적서 발급 방문, 우편, 이메일 수령
국문사이트 > 시험·검사·연구 > 환경 > 유해물질및유해성평가 -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 맑은 물과 공기 속에서 국민이 생활할 수 있도록 시험평가와 R&D를 수행합니다. 주택과 실외 환경, 환기시설, 스포츠시설, 자동차 등 이동수단에 대한 안전성 시험과 에어필터, 미세먼지 측정, 화이트 바이오, CCU 등 환경적 이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업무개요 수도용자재 및 제품의 위생안전인증 수도법 제14조 제1항에 따라 수도시설 중 물에 접촉하는 수도용 자재나 제품이 새행령 제24조 별표1의2에 맞는지에 대하여 인증을 받아야 하는 법적의무 인증제도로, 우리원은 환경부로부터 제 1호로 검사기관지정을 받아 수도용 자재에 대한 제품시험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위생안전인증기준 제품시험(신규, 정기)과 관련한 법정 행정절차, 수수료 등은 한국상하수도협회 위생안전인증등록정보망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상세한 설명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상품목 시험항목 *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안내은 대상분야, 시험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상분야 시험항목 청동밸브, 볼밸브, 수도용 제수밸브, 수도용 버터플라이밸브, 수도용 덕타일 주철 제수밸브 내압성능시험 누설시험 작동시험 내구성시험 도장(도막)관련 시험 용출시험 재료시험(화학성분, 인장강도, 연신율)
국문사이트 > 시험·검사·연구 > 환경 > 수도용자재
게시판
1208의 검색결과
-
KCL, 한국환경공단-한국필립모리스와 ESG 경영 및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사업 업무협약 체결- 미세조류를 이용한 탄소저감 및 공기정화 시설 구축협력 -KCL(원장 조영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안병옥), 한국필립모리스(대표이사 백영재)는 인천 한국환경공단 본사에서 ESG 경영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탄소저감·공기정화시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월 5일 밝혔다.협약의 주요 내용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탄소저감 및 공기정화시설의 구축 △이산화탄소 포집 관련 인프라 활용 △공동 관심 분야 정보교류 및 연구·용역과제 수행 △ESG 경영을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시설 활성화를 위한 상호협력 등이다.KCL과 한국환경공단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탄소저감 및 공기정화 시설의 구축을 개발하고, 한국필립모리스 양산공장에 해당 시설을 적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획기적으로 저감할 계획이다. 또한, 세 기관은 국가 탄소중립 실현 기술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의 중요성에 공감하여 지속적인 협력을 해나가기로 했다. KCL 조영태 원장은 “최근 ESG 경영은 주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KCL은 ESG 경영에 필수적인 탄소저감기술을 지속적으로 국내 기업들에게 확산·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1. 시험, 인증, 표준 등에 관한 정보 교환 및 협력 시스템 구축2. 숙련도 테스트 및 에너지 평가 분야의 기술 협력3. 인력 교환 및 교육4. 상호 발전을 촉진하고 두 당사자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기타 교류 및 협력.